들어가며

인터뷰 일시/장소 : 2016년 7월 21일, 8월 9일~11일, 8월 27일/KAIST 교수 식당, 스카이프(Skype)

 

'한국 인터넷의 창시자'를 넘어 '아시아 인터넷의 창시자'로 추앙받는 전길남 KAIST 명예교수를 Women at KAIST 인터뷰이로 섭외했다. 마침 '한국 여성계와 문화운동계의 권위자'인 조한혜정 연세대 교수가 그의 동반자이기도 했다. 부부 모두에게 들을 수 있는 이야기가 많아 보였다.

 

전길남 교수는 지구인이다. 그의 육체적 무대는 세계다. 일본에서 태어나 자랐고, 미국에서 공부하고 결혼했으며, 한국에서 일하고 가르치다, 정년 이후 전 세계를 누비며 살고 있다. '코스모폴리탄'이나 '글로벌 시티즌'라는 말이 나오기도 전에 이미 60여 개 나라를 돌았다. 어디로, 왜 가는지 목적이 뚜렷한 존재. 

 

그는 지구인인 동시에 경계인이기도 하다. 경계인이란 이쪽 세계에도 속하고 저쪽 세계에도 속하는 사람이다. 또는 이쪽에도 저쪽에도 속하지 않는 유랑객이다. 그의 자의식은 한국인이었지만, 그의 기준은 전지구적인 것이었고, 그의 언어 역시 그랬다.

 

그의 정신적 영토는 인류가 창조한 또 하나의 세상인, 사이버 스페이스였다. 1982년, 그가 경북 구미 전자기술연구소와 서울대학교의 컴퓨터를 연결하면서 세계에서 두 번째로 열어젖힌 인터넷이라는 신세계는 한국의 90년대와 2000년대를 이전과는 완전히 다른 모습으로 만들었다. 지금 그는 전쟁과 내란과 가난에 시달리는 아시아와 아프리카 저개발국가에 인터넷을 보급하며, 다시 한 번 그런 기적을 꿈꾸고 있다. 

 

전길남 교수와의 인터뷰는 하루 한나절씩 꼬박 나흘에 걸친 것이었다. 그는 규칙적으로 생활했고, 시간을 10분 단위로 나눠 썼다. 다음날에는 전날 다 이야기하지 못한 것들을 생각해 이어 말했다. 그는 인터뷰에 대한 철학을 갖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