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행사'에 가기만 하면 되는건지

부산국제영화제에 가서 레드 카펫을 밟으면 누구나 배우가 되는 걸까. 가을, 부산에 가면 영화감독들과 어깨를 부딪히며 걷고? 말도 안 되는 소리다. 그런 사람들이 올 뿐 나와 상관이 없다. '그 행사'도 마찬가지다.

 

퍼블리 박소령 대표와 사우스바이사우스웨스트(이하 SXSW)를 취재하고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를 하기로 하면서 나눴던 얘기가 있다. "SXSW에서 서비스 소개해서 성공한 사례로 트위터, 포스퀘어만 나온다. 언제 적 서비스냐."

 

한국에 트위터 바람이 인 게 2009년, 2010년인 걸로 기억한다. 2011년과 2012년에는 정말 날렸다. 네이버 미투데이를 흔적도 없이 날렸다. 이 서비스가 존재감을 드러낸 건 2007년 열린 SXSW에서였다. 벌써 8년 전 이야기다. 그때 얘기가 지금도 거론된다.

 

내 정보력의 한계로 트위터와 포스퀘어 사례만 아는 걸 수 있다. 그런데 업데이트 주기가 가장 빠른 위키백과 영문판에도 두 서비스가 나온다. 아아.

유명하니까 ...... 간다!

미국의 배우이자 MC 지미 키멀. SXSW 2015에 참석하여 쇼를 진행했다. ⓒSXSW

SXSW. 한 번도 가보지 않은 내겐 환상적인 행사다. 축제다. 미국에서 히피 문화가 록 음악과 함께 발현할 때 논의되어 1987년 시작한 음악 축제다. 자생적이었다. (그들의 홈페이지에 나온 역사로는 그렇다) 관이 끼어서 나랏돈으로 커온 부산국제영화제와 다르다. (이제 와 독립성 운운하는 게 어불성설이라고 생각한다. 자립하지 못하면 제 목소리 내기가 어렵다.)

 

음악 축제로 커온 이 행사가 영화와 IT 부문을 신설하더니 30년을 유지했다. 규모가 크든 작든 이어온 거 자체가 대단하고, 사람들이 가고 싶어 하는 행사로 만든 게 대단하다. 홍콩과 대만에 가면 에그타르트 먹고 오사카에 가면 오코노미야키랑 치즈케이크(도쿄이던가 교토이던가 ..)

 

먹고 싶어 하는 마음과 비슷하려나. 내가 전자출판을 취재하면서 취재원들에게 "정기자, 프랑크푸르트 도서전 안 가봤어? 에이, 가봐야지~"라는 말을 들었던 것과 비슷하겠다.

 

 

SXSW = !...?

음악 축제의 흥겨움

+ 영화 축제의 열기

= 서비스 홍보할 절호의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