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누구를 동료로 삼을 것인가
11) 가능한 재미있고, 꿈이 크고, 똑똑한 사람들과 어울리도록 노력하자. 그들을 고용하거나 그들 밑에서 일을 하자. (직업의 가장 큰 행복은 그런 사람들과 깊은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 세상에서 그 일을 가장 잘하는 사람들 또는 그렇게 될 사람들과 일을 하자. 같이 일하는 사람들과 평준화가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꼭 기억하자.
- 「Y Combinator 신임 사장이 서른이 되면서 쓴 글: 하루는 길고 십년은 짧다」(블로그, 샘 알트먼 와이콤비네이터 사장/블로그, 김유현, 2015.05.30)
[박소령의 생각]
와이콤비네이터(Y Combinator) 샘 알트먼 사장은 1985년 생입니다. 자신이 서른 살이 되던 2015년에 블로그에 쓴 글의 제목은 「하루는 길고 십년은 짧다(The days are long but the decades are short)」입니다.
36번까지 번호를 붙인 글은 한 문장 또는 서너 줄로 구성되어 있어서 읽기 쉽지만, 하나하나 읽을 때마다 많은 생각을 해야 하기 때문에 단숨에 읽기에는 어렵습니다. 36개 모두가 울림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이번엔 11번을 뽑아 봤습니다.
2. 변화가 항상 좋진 않다
"많은 브랜드가 모든 고객을 만족시키려 한다. 고객이 불쾌해질까 겁나서다. 그러나 그러다가 고객들을 잃는다. '변했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때때로 '변하지 않는 것'이 더 중요할 때가 있다.
우리는 풍족한 시기에 살고 있다. 그 말은 역설적으로 모든 브랜드는 대체 가능하다는 것이다. 100% 독점이 사라진 것이다. 그렇기에 더욱 진정성이 있어야 하고, 브랜드의 색깔이 뚜렷해야 한다. 그래서 우리는 제품 개발, 매장 디자인, 고객 응대 등 모든 면에서 경쟁사를 고려하지 않는다."
- 「"모든 고객 만족시키려다 모든 고객 잃어버린다"」(조선비즈, 윤형준 기자, 2015.02.07)
[박소령의 생각]
1987년 호주에서 시작한 화장품 브랜드, 이솝(Aesop)의 마이클 오키프(Michael O'Keefe) CEO의 인터뷰입니다. 이솝 우화에서 이름을 따 왔다고 하고요. 저는 이번 여름에 휴가를 떠난 포틀랜드에서 우연히 이솝 매장에 들렀는데요. 화장품 매장이라기보다는 가구 매장 같은 정갈한 공간이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인상적이었던 것은, 제품을 설명할 때 브랜드에 대한 애정을 듬뿍 담은 것이 느껴지는 판매원의 태도였어요. CEO 인터뷰를 읽으니 그 이유를 조금은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3. 애플의 '작은 리스트'
"그렇게 (집중된 소수의 제품군을 유지) 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적합한 제품아이디어에 '그래(Yes)'를 하는 것뿐만 아니라 수많은 훌륭한 제품 아이디어를, 그 아이디어가 다른 경쟁제품보다 확실히 뛰어나지 않다면 '아니다(No)'를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런 문화는 애플에 뿌리깊게 박혀있다.
반면 많은 성공적인 회사들은 성공하면 할수록 더 욕심을 부리며 이것도 추가하고 저것도 추가하고 그런 오류에 빠지는 경우가 있다.(Adding this and that). 확실히 말하면 애플의 매니지먼트팀은 절대 그렇게 되도록 놔두지 않는다. 그것은 우리의 문화가 아니다. 우리는 항상 집중할 수 있는 작은 리스트를 가지고 있다."
- 「훌륭한 아이디어에 매일같이 No를 연발하는 회사-애플」(2010 골드만 삭스 연례 테크 컨퍼런스, 팀 쿡 애플 COO/개인 블로그, 임정욱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센터장, 2010.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