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는 좋은데, 왜 불안할까?

💡 10분 안에 이런 내용을 알려드려요!

  • 일의 결과뿐 아니라 일하는 과정과 문화를 점검하고 개선하는 리더의 기술
  • 바쁘게 일하는데 임팩트가 작다면? 속도가 느리다면?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아는 법
  • 빠르고 효율적으로 일하는 팀을 만드는 방법과 실전 사례, 체크리스트

저자 김문주

드림어스컴퍼니 CPO > 프로필 더 보기

지난 아티클에서는 "지금 우리가 잘하고 있는 걸까?"와 "이대로 계속해도 괜찮을까?"의 답을 찾기 위한, 성과·방향·과정으로 구성된 3단계 프로덕트 진단법을 소개했습니다. 그중 성과와 방향을 중심으로 현재 적합성과 미래 적합성을 판단할 수 있는 주요 요소들을 살펴봤는데요.

  • 성과 관점에서는 목표 지표 달성률과 제품 헬스체크를 통해 현재 적합성을 진단합니다. 성과가 미달할 때는 고객 도달·지표 설정·해결책·문제 정의 네 가지 측면에서 원인을 찾아볼 수 있죠.
  • 방향 관점에서는 회사 얼라인먼트, 외부 및 내부 분석으로 미래 유효성을 재점검할 수 있습니다.

성과와 방향 점검으로 현재 위치와 미래 유효성을 파악했다면, 이제 '우리는 적합한 방식으로 실행하고 있는가?'라는 과정 점검이 필요합니다. 과정은 프로덕트의 지속 가능한 성공을 만드는 팀의 실행 근육입니다.

 

과정의 적절성은 상대적으로 간과하기 쉽습니다. 지표나 목표 달성률은 숫자로 명확하게 드러나지만, 팀의 의사결정 구조나 협업 방식, 실행의 일관성은 보이지 않는 흐름 속에 숨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다 보니 팀이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는 사실만으로 리더는 종종 착각합니다. '열심히 하고 있으니 잘하고 있겠지!'라고요.

 

과정의 적절성은 단순히 '무엇을 했는가'가 아니라 '어떻게 일하고 있는가'를 점검하는 일입니다. 우리가 세운 목표를 향해 일관되게 움직이고 있는가, 빠르게 실험하고 학습하는 구조를 갖추고 있는가, 투입한 노력이 실질적인 임팩트로 이어지고 있는가 등이 해당됩니다.

 

이것은 곧 조직의 실행 근육과 학습 능력을 진단하는 일입니다. 이 점검이 없다면, 팀이 바쁘게 움직여도 진짜 중요한 변화는 일어나기 힘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