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인터뷰어, 프리랜서 2년 차. 여러 매거진의 에디터를 거쳐 <W Korea>에서 피처 디렉터로 일했습니다. 김하나와 같이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를 썼으며 카카오페이지 오리지널 인터뷰 시리즈 <멋있으면 다 언니>를 만들었습니다.
저자 김하나
작가, 진행자, 프리랜서 14년 차. 제일기획, TBWA Korea에서 카피라이터로 일했으며 예스24 팟캐스트 '책읽아웃'을 3년째 진행하고 있습니다. <말하기를 말하기>, <힘 빼기의 기술> 등의 책을 냈고 황선우와 같이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를 썼습니다.
같은 노력으로 더 쉽게 나아지려면
🌿김하나(이하 김): 오늘 저희가 이야기 나눌 주제는 '나만의 강점 찾기'입니다. 강점 '만들기'가 아니라 '찾기'라고 한 이유는 누구든 강점이 없는 사람은 없기 때문이에요. 특출나게 뛰어난 사람들만이 강점을 가진 게 아닙니다. 자신만의 독특한 재능, 기술, 개성 등이 모두 강점이 될 수 있겠죠. 때로는 업무에 영향을 주는 무의식적인 행동이나 성격적인 부분까지 포함해서요.
🎈황선우(이하 황): 어떤 종류의 일에서 꾸준히 만족스런 퍼포먼스를 발휘할 수 있다면, 그런 일을 수행하는 게 남들보다 더 수월하다면 그것이 자신의 강점이라고 볼 수 있을 거예요. 거꾸로 강점을 충분히, 제대로 발휘하며 일할 때 더 뚜렷한 성과를 낼 수 있기도 하고요.
그런데 살다 보면 오히려 내 약점 때문에 고민하거나 위축될 때가 더 많은 것 같아요. '나는 이게 왜 안 될까?' '이 부분은 모자란 것 같은데 이대로 괜찮나? 채워 넣어야 하지 않을까?' 이런 벽에 부딪히는 순간이 자주 오죠.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3일 무료 체험으로 4,000개의 실무 노하우 콘텐츠를 무제한으로 만나보세요
실무를 배워가는 ‘스타터’부터 팀을 이끄는 ‘임팩터’까지, 커리어 단계별 맞춤 콘텐츠 추천
이번 아티클을 읽으면서 저의 강점에 대해 깊게 생각해본 적이 없다는 걸 알았어요. '내가 이런 건 잘 하지'라는 생각자체를 경계하는 습관이 있었어요. K특성 중 하나인 과도한 겸손과도 이어지네요.(소름)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다는 것은 오히려 자신있게 드러냈던 것 같고요. 적으면서도 내가 왜그랬을까 싶어요. 띠용~ 생각이 많아지는 밤입니다. 김하나, 황선우 두 작가님! 좋은 이야기 들려주셔서 고맙습니다.
도움이 돼요 14
아쉬움
김선* 님
창업자, 14년차
뭔 퍼블리 댓글은 다 만족이냐... 전 이 글 별로입니다.
프리랜서 현업에 계신 분들이기 때문에 두 사람의 수다스러운 글도 좋은 정보가 되긴 하겠죠.
근데 이걸 글로 보니 영 별로입니다.
뾰족하지 않은 바늘 같습니다. 도저히 꽂히는 게 없어요 머리에. 3편까지 참고 다시 읽고 해봐도
움켜줘도 손가락 사이로 빠져나가는 모래마냥 다 흩어지는 글이네요.
차라리 팟캐스트나 영상으로 하시지 그러셨어요.
도움이 돼요 9
만족
김빛* 님
그래픽 디자이너, 5년차
현재 가지고 있었던 고민의 갈증을 어느 정도 해소한 것 같아요~
생각이 많고 자신에 대해 정리를 못했던 저에게 '선택과 집중'이라는 키워드와 설명이 확 와닿았습니다.
다음 아티클이 너무 기다려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