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수와 영희' 시절의 디자인

2000년대 중반 들어 고개를 들기 시작한 레트로풍 타이포그래피와 그래픽 디자인은 이제 한국 디자인계에서 하나의 기조로 완전히 자리 잡은 모습이다. 이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가 부족하다는 사실이 놀라울 정도다.

 

2000년대 말 붕가붕가레코드의 수석 디자이너 김기조가 선보인 레터링 작업(비록 온전히 레트로로 보긴 어렵지만)은 당시 젊은 그래픽 디자이너들 사이에 적잖은 반향을 일으켰다.

 

수공업 소형 음반사를 지향하던 붕가붕가레코드는 크래프트지에 레터링을 입힌 라벨지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비용을 절감했는데 그 모습이 영락없이 1970년대 말 폴라 셰어(Paula Scher)가 CBS 레코드의 아트 디렉터였던 시절을 연상시킨다. 제한된 예산에서 효과적인 결과물을 만들어야 했던 폴라 셰어의 상황이 2000년대 말 국내 인디 음반사의 그것과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그 시기에 젊은 타이포그래퍼들을 중심으로 옛날 도안사나 소위 간판장이의 스타일이 유행처럼 번져나가기도 했다.* 이후 그래픽 디자인계에서 레트로 스타일은 여러 세대의 디자이너와 디자인 회사의 손길을 거치며 다양한 양상으로 표출됐다.

* 혹은 북한 서체에서 영감을 받은 디자인이 나오기도 했다.

 

젊은 디자이너들은 레트로풍의 키치적 표현을 자신의 아이덴티티로 삼았고 기업들 역시 레트로를 앞세운 제품으로 시장을 공략했다. 디자인 저술가 전가경의 다음 글은 그래픽 디자인, 특히 타이포그래피에서 다양하게 나타나는 레트로의 흐름을 짚어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글: 전가경 디자인 저술가
  • 편집: 최명환 기자

역사 속 타이포그래피의 복고 현상

좁게는 타이포그래피, 넓게는 그래픽 디자인에서 '옛 제도나 모양, 정치, 사상, 풍습 따위로 다시 돌아감'을 뜻하는 '복고'는 낯선 게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