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Editor's Comment
이 글은 PUBLY의 26번째 프로젝트, '회사가 싫어서 - 2016 코워킹 유럽 컨퍼런스'의 디지털 콘텐츠입니다.
저자 오지예님은 2017년 1월 현재 네덜란드에 거주하며 암스테르담 대학 문화사회인류학 석사 과정을 이수 중입니다. 2016년 11월 벨기에에서 열린 컨퍼런스에 현장 스탭으로 참여했으며, 이때 만난 정보와 이야기를 젊은 코워킹 스페이스 매니저로서 일하며 가졌던 철학 및 문제의식과 연결해 한 편의 리포트로 정리했습니다.
이 글을 읽기 전 알아야 할 내 정체
나는 이 글에서 아주 솔직할 것이다. 코워킹 스페이스와의 만남을 미화하지 않을 것이다. 2016 코워킹 유럽(2016 Coworking Europe Conference, 이하 컨퍼런스)에 스텝으로 참여하며 보고 느낀 것과 기업 문화에 대한 인터뷰이들의 의견을 가감 없이 전달할 생각이다.
본론에 들어가기 전에 밝히자면, 나는 코워킹 스페이스를 만난 지 2년 차에 지나지 않는다. 회사 직급으로 보자면 아직 대리를 달기까지 몇 년을 더 기다려야 하는 사원에 비유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고자 한 이유는, 정확하게 내가 대리나 부장이 아닌 '사원'이기 때문이다.
사원 역시 회사의 소중한 구성원이다. 그들도 회사의 미래에 관심을 갖고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면 좋을지 고민한다. 그들의 미래 역시 회사의 미래와 밀접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20xx 년 경영전략 수립 회의'와 같은 장에서 그들의 의견은 아직 미숙하다는 이유로, 혹은 아직 '사원'이라는 이유로 들어설 자리를 잃고 만다.
물론 풍부한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장'들의 식견을 무시하자는 얘기는 아니다. 그러나 우선순위에서 밀려나는 사원들은 언제쯤 이야기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추게 되는 걸까? 외부에서 주어지는 '이제 의견을 말해도 괜찮다'는 자격은 얼마나 견고하길래, 내 말에 힘을 실어주게 되는 걸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