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마케터는 이렇게 일합니다: CRM·콘텐츠·SNS·총괄 마케터 저자 인터뷰
💡 10분 안에 이런 내용을 알려드려요!
- 직무별 실무 노하우: CRM 자동화 설계법, 콘텐츠 성과 판단 기준, SNS 알고리즘 대응법, 1인 팀 운영 전략 등 현장 밀착형 실무 팁
- 성과 측정의 실제: 순증가분 기반 CRM 분석, 정량·정성 콘텐츠 평가, 측정 불가능한 퍼널 구간 대응법 등 각 분야별 성과 진단 방식
- 팀 협업과 성장: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외부 협업 관리, 자기 점검 루틴 등 마케터의 일하는 방식과 성장 철학
Interviewee(가나다순)
🙎🏻♂️ 김대정 리멤버 CRM 마케팅 DRI > 프로필 더 보기
🙎♂️ 남재홍 스타트업 CMO > 프로필 더 보기
🙍🏻 전윤아 10년 차 콘텐츠 마케터 > 프로필 더 보기
🙍🏻♀️ 정지수 대학내일 디지털·SNS 마케터 > 프로필 더 보기
✍️ Editor's Comment
퍼포먼스는 어떻게 진단하고, 콘텐츠는 어떻게 성과를 판단할까? 채널별 우선순위는 어떤 기준으로 정하고, 팀 안에서 더 나은 협업을 위해 무엇을 고민할까?
2편에서는 각 마케터의 직무별 질문을 바탕으로, 실무 방식과 일하는 철학까지 묻습니다. 콘텐츠, CRM, 디지털/SNS, 퍼포먼스 마케팅 등 다양한 포지션에서 어떻게 일하고, 무엇에 집중하고, 어디서 힘을 빼는지 마케터로서의 기준과 원칙을 비교하며 읽어보세요. 직무별로 다른 인사이트, 공통으로 이어지는 태도가 보일 거예요.
👉 이 아티클은 총 두 편으로 나누어 발행됩니다. 요즘 마케팅 트렌드, 필요한 마케터 역량이나 커리어 경험이 담긴 1편이 궁금하다면? 바로 보러 가기
Part 1: (개별)직무별 실무 노하우
📊 CRM 마케터 김대정 저자의 실무 설계법
Q. 요즘 CRM 실무에서 달라진 흐름이나 주목하는 지점이 있는가요? CRM이 단순 퍼널 관리에서 고객 여정 관리로 확장되고 있다는 흐름 속에서, 어떤 부분을 중요하게 보고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