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뉴욕에서 한 달에 한번 정도 참석하는 토론 모임이 있다. 다양한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모여 각자 하는 일과 관련된 주제로 돌아가면서 발표하는데, 한 번은 물리학과 수학을 주제로 한 토론에서 이런 이야기가 나왔다.

 

학교에서 왜 노을은 빨갛고 왜 하늘은 파란지를 배울 때면 '빛의 분산' 때문이라고 배운다. 그걸 열심히 외워서 학기말 시험에서 '빛의 분산'이라고 답하면 점수도 받는다. 그러나 그렇게 점수를 얻었다고 노을이 왜 빨갛고 하늘이 왜 파란지 설명할 수 있을까? 우리가 배운 건 사실 '빛의 분산'이라는 말뿐만은 아닐까? 고백컨대 그날 모임에서 나도 '빛의 분산'을 머릿속에 떠올렸지만 왜 빨갛고 파란지는 전혀 생각나지 않았다.

 

처음 맞닥뜨리는 문제를 해결할 일이 점점 많아지는 시대에 표준(standard)이라는 이름으로 정형화된 지식을 단순히 축적하기만 해서는 실제 할 수 있는 일이 많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새롭게 시도되고 있는 것이 숙달(mastery)을 통해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역량(competency)을 키우는 교육법이다. 시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뉴욕시의 교육부가 SXSWedu에서 그들의 프로그램과 기대성과를 소개했다.

뉴욕시 교육부의 Mastery Collaborative

뉴욕시 교육부는 38개 중고등학교에서 'Mastery Collaborative'라는 이름의 프로그램을 통해 숙달 중심 학습(mastery-based learning, 또는 competency-based learning이라고도 함)을 시범적으로 실천하고 있다.

 

숙달 중심 교육법은 전통 교육법과 어떻게 다른지 아래 표를 먼저 보자.

전통적인 수업에서는 교사들이 보통 주제별로 수업을 진행한다. "오늘은 메소포타미아에 대해 배울 거예요. 자, 그럼 이제 이집트에 대해 알아볼까?" 하는 식으로 말이다. 한 주제에 대해 교사가 준비한 내용이 모두 전달되고 나면 학생들이 그 내용에 대해 실제로 이해한 정도와는 크게 상관없이 다음 주제로 넘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