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주간지 매경이코노미에서 창업, 유통, IT 기사를 쓰고 있는 10년 차 기자입니다. <프랜차이즈 트렌드 2017~2018>, <2020s 자영업 뉴패러다임에 대비하라>를 썼고, KBS1라디오 '성공예감 김방희입니다' 중 '노 기자의 창업트렌드' 코너에 고정출연 중입니다. 자영업 전문 팟캐스트 '고품격 자영업자 편파방송 창업직썰'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프랜차이즈 본사와 주류 도매상이 결탁한 불법 사금융 주류대출 관행을 고발해 2017년 4월 한국기자협회 이달의 기자상을 받았습니다.
[콘텐츠 발행일: 2020.10.29]
우리는 모두 예비 자영업자다. 공무원도 회사원도 운동선수도 은퇴하면 치킨집!
제가 진행하는 자영업 전문 팟캐스트 '창업직썰'의 오프닝 멘트 중 일부입니다. 100세 시대인 지금, 은퇴하고도 30년은 더 살아야 하니 언젠가 우리 대부분도 자영업자가 될 운명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죠.
그런데 코로나19 사태로 오늘날 자영업자분들이 전례 없는 고통을 겪고 있습니다. 저희 어머니도 40년 넘게 작은 식당을 하고 계시는데요. 식당 주변에 확진자가 발생하면 매출이 반의반 토막 나기 일쑤다 보니 그 고통을 잘 압니다.
코로나19 이후 우리나라 자영업 시장은 어떻게 바뀔까요?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의 자영업도 20여 년 전 IMF 외환위기 때와 비슷한 흐름을 거칠게 재현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부실 자영업자는 연쇄 폐업과 구조조정을 겪고, 살아남은 가게들은 상권 내 수요를 독점해 승자독식을 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IMF 외환위기 당시 부실기업들이 그랬던 것처럼 말이죠.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3일 무료 체험으로 4,000개의 실무 노하우 콘텐츠를 무제한으로 만나보세요
실무를 배워가는 ‘스타터’부터 팀을 이끄는 ‘임팩터’까지, 커리어 단계별 맞춤 콘텐츠 추천
코로나이후 자영업자의 살길이 프랜차이즈를 여러게 하라는 것이 해결책이 될까요?
경쟁력있고 기술력있는 자영업자들 또한 정부의 영업제한 및 금지 정책과 코로나로 인해 영업을 못하게되는 지금상황에서
코로나이후 비대면이 익숙해진 사회상황에서 소상공인은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
오프라인과 온라인에 어떠한 새로운 플랫폼이 나타날 것인가? 사람들의 생활패턴은 어떻게 변하고 그에따라 판매전략을 어떻게 새울것인가?
이런 글을 기대했는데 해결책이 당황스럽습니다.
다점포 점주는 지금 현 상황에도 많이 존재하며 제가 알고 있는 pc방 , 노래방 다점포 점주는 이번 코로나로 인해 파산하였습니다. 최근 파산한 다점포 사장님들 인터뷰도 해 보셨으면 좋았겠네요.
코로나이후에 언제 다시 코로나와 같은 바이러스가 또다시 퍼질지 모르는 상황에서 리스크가 큰
다점포 점주가 해결책이 되겠습니까?
정말 대한민국은 프랜차이즈 공화국이네요.
도움이 돼요 31
만족
양재* 님
사업 개발, 14년차
현장감있는 내용을 다뤄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점포 점주가 유리한 부분도 있지만 아무래도 창업비용이 높고 BEP가 높다 보니 현재와 같은 코로나 사태에서는 오히려 리스크가 더 커지고 버티기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임대료, 인건비 등 비용의 상승 뿐만 아니라 온라인 매출 증가로 인해서 오프라인 매장을 운영을 장려할 수는 없네요. 워낙 시장의 규모가 커서 정부에서도 버리지 못하고 어쩔 수 없이 안고가야 하는 사업임에는 분명하지만 마땅한 해결책이 없는 상황이지요.
제가 생각하는 가장 큰 문제점은... 본사에서 대리점주들에게 주는 기본 마진 자체가 80년대 처음 프랜차이즈가 생겼을 때와 지금이 똑같다는데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앞서 말씀드린대로 오프라인 매장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비용 자체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아졌고, 앞으로도 높아지고 있는데, 마진율 정책은 30~40년전 그대로 30%~35%를 유지하고 있는데에서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대기업이 가지고 있는 유통채널들에 더 높은 마진율을 주고, 개인들이 운영하는 대리점에는 30%의 마진만을 허용하고 있으니 점점 줄어들고 있는 오프라인 채널에서의 경쟁에서도 개인이 살아남기 어려운 구조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