론칭 직전 찾아오는 불안을 돌파하는 법
💡 5분 안에 이런 걸 알려드려요!
- "확신" 대신 "근거"를 점검해서 감정적 불안을 논리적 점검으로 전환하는 법
- 실험과 검증 구조를 미리 설계해 "틀려도 다시 돌릴 수 있다"는 안정감 만들기
- 혼자 고민하지 않는 시스템으로 의사결정 부담을 분산하는 협업 루틴
저자 낮잠
14년 차 서비스/사업PM/게임 스타트업 비즈니스 오퍼레이터 > 프로필 더 보기
📚 14년 차 선배 PM의 동네북 PM 탈출기 1~3편 미리보기
- 프로젝트 방향이 계속 바뀔 때 중심 잡는 법
- 협업자의 거절에도 논의를 이어가는 노하우
- 론칭 직전 불안감을 격파할 3가지 루틴 - 이번 편
기획이 자주 바뀌는 상황에 대응하고, 협업자와의 거절 속에서도 대화를 이어가다 보면 어느 순간엔 스스로가 흔들리는 기분이 들 때가 있습니다. 방향을 설득하고 조율하는 일에 집중하다 보면, '지금 내가 가는 방향이 맞는 걸까?'라는 질문이 문득 떠오르곤 하죠.
이번 글에서는 그런 질문이 생겼을 때, PM으로서 중심을 점검할 수 있는 기준과 루틴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내가 잘하고 있는지 불안한 순간, 다시 방향을 잡기 위한 작은 점검법들을 공유드려요.
📍이런 분들께 추천해요
- 매일 크고 작은 결정을 내려야 하는데 확신이 서지 않는 분
- "내가 가는 방향이 맞나?" 하는 의심이 자주 드는 분
- 론칭 직전에 불안감이 급증하는 분
- 혼자서 모든 걸 판단하려고 해서 지치는 분
👀 특히 이런 상황을 겪고 있다면 꼭 읽어보세요
- 밤에 잠들기 전 "오늘 내린 결정이 맞았을까?"라는 생각이 들 때
- 프로젝트 중후반부에 "이 기능 정말 유저가 원할까?" 하는 의심이 생길 때
- 팀은 열심히 개발 중인데 혼자만 "이 방향이 맞나?" 하며 불안할 때
- 슬랙 메시지 하나에도 "혹시 내가 잘못 생각한 건 아닐까?" 하며 흔들릴 때
근거·실험·협업: PM의 무기
PM으로 일하다 보면, 이런 생각이 드는 순간이 자주 찾아옵니다. 기획안은 논리적으로 잘 정리됐고, 팀도 각자의 일을 수행 중이지만, 문득 '지금 이 방향이 맞는 걸까?'라는 의문이 머릿속을 맴돕니다.
이 기능, 유저들이 정말 원할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