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는 잘하는데, 팀에 공유는 못하는 팀장이 되지 않으려면?

💡 10분 안에 이런 걸 알려드려요!

  • 팀원들이 회사에 불만이 많아서 고민인 리더를 위한 가이드
  • 윗선 보고보다 팀원들에게 하는 하향 커뮤니케이션이 더 어려운 리더를 위한 소통 노하우
  • 지금 내 실무에 적용 가능한, 갈등 없는 소통을 이끌어가는 법 (ft. Bad vs Better 사례) 

저자 알토v 

알고케어 BizOps >프로필 더 보기

"이거 왜 해야 해요?" 팀원의 질문이 부담된다면

팀장을 처음하면 자기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배운 적이 없으니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중 놓치기 쉬운 게 '하향 커뮤니케이션'인데요. 팀장에게는 알잘깔딱센으로 보고에 힘을 쏟으면서 정작 팀원들과 소통할 때는 별다른 준비 없이 이야기하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실무형 팀장일수록 더더욱 그런데요.

 

회사 입장에서 팀장에게 기대하는 일 중 하나가 바로 원활한 하향 커뮤니케이션입니다. 회사의 입장이나 정보, 다른 팀의 정보를 우리 팀의 팀원들에게 전파하고 중개하는 것이 팀장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죠. 

 

초보팀장은 상급자나 다른 팀장과 소통하면서 얻게 된 정보의 양과 질이 얼마나 실무진과 차이나는지 알아차리기 어려운데요. 예를 들어 마케팅 전략을 고객 인입이 아니라 인입 이후의 구매전환에 집중하기로 수정하게 되었을 때, 경영진과 회의를 통해 의사결정 배경과 맥락을 잘 이해한 팀장은 그 결정에 납득이 되지만 팀원들은 아닐 수 있습니다. 왜 갑자기 구매전환으로 전략이 바뀌었는지 납득하지 못하고 의사결정 방향이 기준없이 바뀐다며 혼란스러워할 것입니다.

하향 커뮤니케이션 포인트 3가지

래서 팀장은 팀원들과 소통할 때, 아래 세 가지를 특히 신경 써야 합니다.

  • 전체 버드뷰를 실무단까지 내리기 
  • 필요한 정보를 적시에 전달하기 
  • 오해와 갈등이 없도록 소통하기 

 

첫째, 전체 버드뷰를 실무단까지 내리기 

버드뷰(Bird view)는 마치 새가 하늘에서 내려다보듯이 전체적인 상황과 맥락을 이해하고 파악하는 관점을 이야기 합니다. 작은 의사결정이라 할지라도 그러한 결정을 하게 된 배경과 맥락,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여러 정보들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의사결정권자의 '관점'을 팀원에게 잘 전달하는 게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