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 기획이 막막한 당신에게

💡 10분 안에 이런 걸 알려드려요!

  • 전략 기획의 출발점, 현재 상황의 문제를 정확하게 정의하는 3가지 방법
  • 내 문제, 남들은 어떻게 풀었을까?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벤치마크 활용법
  • 전략 수립을 위한 SMART 목표 설정법실무형 솔루션 설계 가이드

저자 일머리스쿨(Worksense)

15년 이상의 전략기획자 Amy와 교육 전문가 Aileen이 함께 콘텐츠를 만들고 있습니다. > 프로필 더 보기

👉 이 시리즈는?

 

전략기획, 나랑은 상관없는 일 같았나요? 하지만 실무에선 누구나 문제를 정의하고 방향을 설계해야 하죠. 문제 정의부터 해결책 설계, 문서화, 커뮤니케이션까지. 전략기획력을 실전에서 극대화하는 4편 구성의 올인원 로드맵을 소개합니다. 

 

회사에서 아무도 기획을 가르쳐주지 않는데, 전략 기획을 해오라고 하면 막막하죠. 어렵게만 느껴지고,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도 모르겠고요. 또 어떤 분들은 전략 기획을 정말 잘하고 싶은데, 방법을 몰라 답답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한 번에 통과되는 전략적 기획력을 갖는 법을 알려드립니다. 전략 기획이란 무엇인지, 전략적 사고를 하려면 어떤 점이 중요한지, 또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지를 단계별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문제를 정확히 정의하고, 해결책을 통해 타당성을 확보하는 방법까지 차근차근 설명해 드릴게요.

전략 기획의 시작점: 문제 정의

우리는 스스로 인식하지 못할 뿐, 일상에서 수많은 '기획'을 하며 살아갑니다. 예를 들어, 생일인 친구에게 어떤 선물을 고를지 고민하거나, 회식 장소를 정할 때 모든 팀원이 좋아할 만한 곳을 찾는 것도 기획의 일종입니다. 왜냐하면, 기획의 사전적 정의가 '목적에 맞는 적합한 행동을 설계하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많은 사람이 더 어렵게 느끼는 '전략 기획'은 기획과 무엇이 다를까요? 저희의 생각은 이렇습니다.

목적에 맞는 적합한 행동을 설계한다는 점에서는 전략 기획도 일반 기획도 본질적으로 같다.

그런데도 전략 기획이 더 어렵게 느껴지는 이유는 따로 있습니다. 기획은 보통 이번 분기 마케팅 캠페인 기획이나 영업 프로모션 기획처럼 단기적이고 구체적인 내용을 다룹니다.

 

반면 전략 기획은 좀 다릅니다. 예를 들어, 올해 우리 회사의 방향성을 어떻게 정할지, 새로운 시장에 진입할 전략은 무엇인지 등 전략 기획은 아직 가보지 않은 미래에 대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우리가 처한 시장 상황, 트렌드, 경쟁사 동향, 내부 자원 등을 모두 고려해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결정을 내려야 하는 일이기 때문에 훨씬 어렵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일머리스쿨

처음 가는 산길에서 A와 B, 두 갈림길이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정상에 도달하기 위해 어느 길로 갈지 결정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문제는 이 길을 한 번도 가본 적이 없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판단을 내리기 위해선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하죠.

 

예를 들면, 눈에 보이는 산의 지형, 함께 가는 사람들의 체력 상태, 해가 지기까지 남은 시간 등, 이 모든 것을 종합해 최적의 길을 판단하고 방향을 정하는 것이 바로 '전략 기획'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정한 길을 어떻게 하면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오를 수 있을지 고민하는 일이 바로 '기획'입니다.

 

그렇다면 전략 기획을 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사실 전략 기획과 기획은 완전히 다른 개념이 아닙니다. 설계도와 시공계획처럼, 결국은 '집을 잘 짓는다'는 같은 목적을 향해 가는 일입니다.

 

그래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우리에게 주어진 상황 또는 문제를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현재 상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올바른 방향성과 해결책을 제시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코끼리와 일곱 명의 눈이 안 보이는 사람'이라는 우화가 전해집니다. 일곱 명의 눈먼 사람이 길을 가던 중, 거대한 장애물을 만났습니다. 앞이 보이지 않던 이들은 손으로 장애물을 더듬어 보기 시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