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쟤랑 같이 일 못하겠어요"에 대처하는 리더의 자세

💡 10분 안에 이런 내용을 알려드려요!

  • 팀장의 에너지를 빨아먹는 팀원 간 갈등의 진짜 원인
  • 사례로 짚어보는, 팀워크를 갉아먹는 핵심 태도 4가지
  • 태도 이면의 '불안'을 읽어내고, 관계를 회복할 수 있는 방법

저자 문송이 

대학내일 인재성장팀 책임 > 프로필 더 보기 

 

저자 이윤경

대학내일 인재성장팀 팀장 > 프로필 더 보기

'팀원 간 갈등'은 리더라면 한 번쯤은 겪어봤을 이야기입니다. 다양한 성향의 사람들이 함께 일하면 갈등은 당연하지만, 이걸 해결해야 하는 리더 입장에서는 고역이 아닐 수 없습니다.

 

많은 리더들이 가장 골치 아픈 문제로 '팀원 간 갈등'을 꼽습니다. 이 상황이 힘든 이유는 명확합니다. 블랙홀처럼 팀과 팀장의 에너지를 빨아들이기 때문입니다. 리더의 관리 에너지가 소모되고, 팀의 성과에 악영향을 미치며, 성과 저하를 넘어 자칫 팀원의 퇴사로 이어질 수 있고, 결국 '무능력한 관리자'라는 낙인이 찍힐 수도 있습니다.

 

생각만 해도 난감한 상황입니다. 제 지인인 팀장 A도 비슷한 경험을 했습니다. 팀원 B는 기계식 키보드를 즐겨 사용했고, 집중해서 처리해야 하는 일이 많은 팀원 C는 소음에 괴로움을 느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C가 자리로 걸려온 중요한 업무 전화를 받았는데, B의 타이핑 소리에 신경이 곤두선 나머지 통화 내용을 제대로 숙지하지 못한 겁니다. 한순간에 폭발한 C는 모두가 있는 사무실에서 B에게 공개적으로 불만을 표출했습니다.

C: "B님, 다 같이 일하는 사무실에서 그렇게 시끄럽게 타이핑하시면 안 되죠!"

하지만 B에게선 냉랭한 반응이 돌아왔습니다. 

B: "네? 좀 예민하시네… 지금 고객사에 급하게 메일 쓰느라 그런 거잖아요. 하긴, C님은 편한 프로젝트만 맡으셔서 잘 모르시겠네요."

급속히 악화된 둘의 관계는 팀의 에너지를 끝없이 잡아먹었습니다. 마주치기만 하면 냉랭해지는 B와 C의 업무를 재배치하느라 팀장 A의 고뇌가 깊어졌습니다. 둘의 눈치를 보느라 활기차던 팀 전체 분위기마저 침체되었습니다.

 

'사이좋게 지내라'는 중재, 효과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