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be this image in as much detail as possible and summarize the main points in three lines. Be careful to say only what is included in this image and not what is not. Please speak all answers in Korean.
2. 난이도 하 - 이미지 데이터 분석 및 유튜브 확장 프로그램으로 정보 찾기
예시 🤔: 이게 요새 인기 있는 크리에이터들이라고 본 건데~ 저희 브랜드와 협업할 만한 크리에이터가 있을지 빠르게 검토해 줄래요?
채널 링크를 요청했더니 각 유튜버에 해당하는 채널 URL이 깔끔하게 표로 정리되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표 밑으로 아래와 같이 모든 유튜브 채널의 설명 역시 추가된 것을 볼 수 있죠. 이처럼 순식간에 채널 정보를 불러오기 때문에 번거롭게 유튜브를 왔다 갔다 할 필요가 없겠네요.
단순히 Z세대들이 많이 보는 채널이니까 협업하면 광고 효과가 좋을 거라고 생각했었는데, 뷰티 콘텐츠와의 적합성, 다른 유튜버와의 비교 등 새로운 면에서 적절성을 검토해 볼 수 있어서 유용하네요. 덕분에 좀 더 풍부한 내용을 보고할 수 있게 됐습니다.
이렇게 제미나이의 이미지 인식 기능과 유튜브 확장 기능을 적절히 활용하면, 검색과 클릭할 시간을 줄이고, 새로운 관점에서 콘텐츠를 생각해 볼 수 있답니다. 아래 프롬프트 템플릿을 활용해 여러분의 상황에 맞게 커스텀 활용해 보시길 추천해 드립니다.
📌[프롬프트] 이미지 속 데이터를 표로 정리하고, 인사이트 얻기
1. 이미지 속 데이터 표로 정리하기
This image is titled {이미지 속 콘텐츠 주제} and {이미지 속 콘텐츠 설명}, so I need to organize {표로 정리하고 싶은 항목 목록} in a table format.
2. 유튜브에서 채널 정보 찾기
@YouTubecan you update the table including each creator's channel URL using YouTube extensions? make sure to do this for all {크리에이터의 수} creators.
3. 팀장님(경력자) 입장에서 검토 요청하기
I'm considering {콘텐츠 종류} with YouTube channel {채널명} for our brand.
The channel has {구독자수} subscribers, and the concept is that {채널 컨셉 설명}
As the {검토자의 역할}, I would like you to review the appropriateness of this selection from {검토 원하는 관점}, given that our brand's primary target audience is {브랜드 주요 타겟} and the product we will be collaborating to promote is {홍보하고자 하는 제품명}.
[TIP💡] 텍스트 변환에도 활용해 보세요.
제미나이의 이미지 분석 기능은 단순한 텍스트 변환에도 활용하기 좋습니다. 보고서나 보도자료 속 표 이미지를 보고 및 발표 자료에 활용할 때, 하나씩 텍스트로 옮겨 적는 경우가 많은데요.
제미나이에게 "Please convert this image into a table with text"라고 요청하면 바로 텍스트로 작성된 표로 변환해 줍니다. 이렇게 변환된 표는 'sheets로 내보내기'를 통해 추출할 수 있고요. 불필요한 시간을 확 줄일 수 있다는 점이 정말 간편했어요!
예시 🤔: 대리님~ 이번에 진행했던 체험단 리뷰 읽어보고, 소비자 반응 좀 파악해 줄래요?
리뷰 분석은 수십 또는 수백 개가 넘는 고객 후기를 일일이 읽고, 파악해야 하는 품이 많이 드는 업무입니다. 하지만, 우리 제품의 어떤 부분이 소비자에게 매력적으로 보이는지, 또 어떤 부분이 부족한지를 파악하기 위해 꼭 필요한 업무이기도 합니다. 이럴 때 제미나이를 활용하면 시간은 단축하면서 훨씬 빠르게 리뷰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먼저, 제미나이에게 마케팅 전문가가 되어 리뷰 분석표를 만들어달라고 요청합니다. 이때 분석할 리뷰 목록을 함께 주면서, 어떤 것들을 분석해 주기를 원하는지, 어떤 기준으로 분석해 달라고 할지, 어떤 인사이트가 필요한지 함께 요청해 주면 좋습니다.
분석 항목: 고객 후기에서 어떤 점을 파악하고 싶은지 고려해 항목을 정합니다. (예: 제품 개선점 파악, 감성 등)
분류 기준: 제미나이가 분석을 수행할 때 참고해 줬으면 하는 기준이 있으면 함께 적습니다. (예: 제품 개선점을 파악할 때 커버력·발림성·기타 중에서 하나로 분류해 줘)
핵심 요약: 자세한 내용을 빠르게 파악하기 위해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핵심을 요약해 달라고 합니다. (예: 모든 리뷰를 분석한 후, 제품 개선 포인트를 3가지로 요약해 줘)
일일이 읽어봐야 하는 고객 리뷰도 손쉽게 분석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정리된 내용을 구글 시트로 내보내기까지 할 수 있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겠네요. 반나절은 쓰게 됐던 작업을 편하게 끝냈죠?
📌[프롬프트] 고객 후기를 한 번에 분석하고, 인사이트를 도출하기
The data below is based on the reviews of our customers who used {후기 제품명}
{고객 후기 데이터 CSV(쉼표로 구분된 데이터)}
As a marketing specialist, Read the data and organize the following into a table.
- In the title row of the table, put {리뷰 번호, 리뷰 내용, 감정 분석, 만족 사항, 불만 사항}.
- Sentiment analysis: For each review, analyze the user's sentiment and classify it as one of {긍정, 부정, 중립}
- Complaint points: For negative reviews, categorize the user's complaint points into one of the following categories.
{분류기준을 콤마(,)로 구분 입력 (ex. 커버력,지속력,보습력)}.
- satisfaction points: For positive reviews, please categorize the user's satisfaction points into one of the following categories. {분류기준을 콤마(,)로 구분 입력 (ex. 커버력,지속력,보습력)}
- After analyzing all of the reviews, use them to create three bullet points of {필요한 인사이트(ex. 제품 매력포인트)} that should be emphasized in the {프로젝트명 (ex. 신제품 광고 기획)}
Q. 고객 후기 데이터를 꼭 CSV(쉼표로 구분된 데이터)로 붙여 넣어야 하나요? 엑셀에서 바로 붙여 넣은 데이터로도 프롬프트가 작동될 수도 있지만, 쉼표로 정확하게 구분된 데이터를 넣을수록 AI가 더 명확하게 데이터 구조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CSV를 추천합니다.
4. 난이도 상 - 파이썬 코드를 활용해 데이터를 바로 그래프로 만들기
예시 🤔: 대리님~ 지난달 카테고리별 매출, 그래프로 정리해 줄래요?
매출 데이터를 그래프로 정리하는 일은 보고서 작업 및 계획안을 세울 때 빠지지 않는 업무입니다. 평소 같으면 데이터를 파워포인트 또는 엑셀에 붙여 넣어 그래프로 만드는 과정을 거쳤겠지만, 이 역시 제미나이를 활용하면 더 간편하게 작업을 마칠 수 있습니다.
그래프 생성 과정을 코드로 작성할 수 있기 때문에, 매번 차트 설정을 수동으로 조정하는 번거로움 없이, 새로운 데이터에 같은 스타일을 적용하는 것이 매우 쉬워지죠. 그뿐만 아니라 평소 구현하기 어려운 등고선 차트, 트리맵 같은 고급 차트 종류도 손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1단계] CSV 데이터 만들기
제미나이를 활용해 그래프를 그리려면 먼저, CSV 형태로 된 데이터가 필요합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데이터 구분이 명확해 인식이 좀 더 정확하더라고요. 만약 엑셀로 데이터를 가지고 계신다면, 그래프로 만들고자 하는 데이터를 CSV 데이터로 만들어 줍니다.
수동으로 그래프를 제작하려면 하나부터 열까지 내가 다 조정해야 하는데요. 제미나이를 활용해서 그래프를 만들면 반복 작업을 줄이고 더 편하게 할 수 있습니다. 코드를 바탕으로 생성되었기 때문에 매우 가볍고, 한번 만들어두면 매번 새로운 그래프를 만들 필요 없이 데이터만 업데이트 하면 되거든요.
그럼,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방법도 살펴볼까요? 현재 데이터를 최신 데이터로 교체하고자 한다면, 아래 이미지처럼 1) 코드 속의 데이터를 새로운 데이터로 업데이트해 달라고 한 뒤, 2) 다시 그래프를 그려 달라고 하기만 하면 됩니다.
Please create Python code using Matplotlib library to generate a {그래프 형식} with the following data:
{CSV 데이터}
the bar chart should be sorted by {정렬기준(ex. 매출액)} in {오름차순/내림차순}. The x-axis should represent the {x축 기준(ex. 카테고리)} and the y-axis should represent {y축 기준}. Each bar should be labeled with the corresponding {x축 라벨(ex. 카테고리)} name. Please be sure to provide a title for the chart and customize the appearance to your liking (e.g., colors, legend). Then, draw a graph using the code.
2. 코드에 따라, 그래프 그리기
Draw the graph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in the code
3. 그래프에서 인사이트 도출하기
As a senior {직무}, summarize the top three takeaways from the graph.
구글 제미나이로 기획서 설득력을 높이는 2가지 방법
앞서, 제미나이를 활용해 데이터에서 인사이트를 얻어내는 방법을 알아봤는데요, 인사이트만 가지고 기획서가 완성되는 건 아니죠. 이 인사이트에 설득력을 불어넣어 줄 구조와 근거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이번에는 제미나이를 활용해 기획서의 설득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이어서 설명하겠습니다.
1. '고객 여정 지도' 방식을 참고해 단계별 전략 세우기
예시 🤔: 대표님이 이번에 우리도 팝업스토어 해보자고 하시는데, 팝업스토어 기획 좀 해줄래요?
기획 업무를 하다 보면, 경험이 없는 아주 새로운 기획을 해야 할 일도 가끔 생깁니다. 이럴 때 어떻게 하면 설득력 있는 기획을 작성할 수 있을까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고객 입장에서 서비스를 경험해 본다고 생각하고, 한 단계 한 단계씩 설계해 나가는 겁니다. 이를 '고객 여정 지도'라고 하는데요. 일일이 손으로 고객 여정 지도를 짜는 대신, 제미나이에게 프로젝트에 대해 알려주고, 이에 맞는 '고객 여정 지도'를 작성해 달라고 하면 보다 손쉽게 단계별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1단계] 기본 정보를 주며 고객 여정 지도 요청하기
먼저, 제미나이에게 마케터의 역할을 부여한 다음, 고객 여정 지도를 만들어달라고 합니다. 요청할 때 브랜드의 주요 사항 및 팝업스토어와 장소 관련 참고해야 할 사항을 함께 알려줍니다.
요청 결과 'Cute meets Clean(귀여움이 클린함을 만나다)'라는 제목과 터치 포인트에 따라 어떤 전략을 취할 수 있는지 상세한 아이디어를 표로 정리해 줬습니다.
'성수동 출판물과 콜라보하기', '피부 분석 도구', '캐릭터를 테마로 한 포토 부스' 등 재미있는 아이디어를 많이 제공해 주는데요. 성수동 팝업스토어에 방문하기 전인지, 매장에 진입한 시점인지 등등 고객의 여정에 따라, 그에 맞는 아이디어와 상세 안을 제시해 주므로 더욱 설득력 있게 느껴집니다.
2. 기획서에 설득력을 더해줄 실행 계획표 만들기
예시 🤔: 기획 자체는 좋은 것 같은데… 그래서 언제, 어떻게 하겠다는 건가요?
기획은 좋은데 뭔가 설득이 잘 안된 경험을 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그렇다면 구체적인 실행 계획이 부족했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실행계획을 구체적으로 작성할수록, 준비되었다는 인상을 줄 수 있어 설득력이 크게 상승하죠.
그래서 이렇게 중요한 실행 계획을 좀 더 빠르고 구체적으로 작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SMART 방법론을 결합한 제미나이 활용을 추천합니다.
SMART 방법론이란 Specific(구체적인), Measurable(측정할 수 있는), Achievable(달성할 수 있는), Realistic(현실적인), Time-bound(시간 제약이 있는)의 앞 글자를 딴 것으로, 측정할 수 있는 상세 계획을 세울 수 있게 도와주는 방법론을 의미하는데요.
SMART 방법론은 효과적이긴 하나 백지상태에서 수기로 작성하면 한참 걸릴 수밖에 없습니다. 대신, 제미나이에게 이 방법론으로 계획 초안을 만들어달라고 하면 보다 수월하게 작성할 수 있죠. 초안에서 조금의 수정 및 보완만 하면 되니까요.
총 3개월간 1억 원 규모의 'Cute meets Clean(귀여움이 클린함을 만나다)'이라는 디지털 마케팅 캠페인을 하게 되었다고 가정하고, 제미나이와 함께 세부 계획 초안을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1단계] 디지털 마케팅 실행 계획 요청하기
먼저, 제미나이에게 디지털 마케팅 전문가로 역할을 부여한 다음에 기간, 예산 등 실행 계획을 짤 때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함께 알려줍니다.
상세한 내용은 수정이 필요하겠지만 '소셜미디어의 예산은 3천만 원, 예상 결과는 월간 게시물 노출 수 50만 건, 참여율 5%'라는 등 구체적인 시나리오를 제공해 주니 백지상태에서 시작하는 것보다 훨씬 편해졌습니다.
[TIP💡] 개인 정보 입력 시 주의 사항
생성형 AI 특성상 대화는 검토 또는 사용의 대상이 되기 때문에, 회사 내 개인 정보나 기밀 사항은 입력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제미나이에서 나눈 대화가 검토되지 않길 원한다면, 화면 좌측 하단의 [활동]을 클릭하고 '활동 사용 중지'를 설정하면 대화가 향후 검토를 위해 전송되지 않는다고 하니 참고하시기를 바랍니다.
손이 빠른 부사수가 생기다
AI를 업무에 많이 적용해 보지 않은 분이라면 처음에는 어색하고, 원하는 결과도 잘 나오지 않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저 역시 처음에는 그랬지만, 여러 번 시도해 보면서 점점 제 업무에 제대로 활용하는 방법을 알게 되었습니다.
어떻게 활용하면 원하는 대로 답을 얻을 수 있는지를 터득하니, 업무에 들이는 시간과 에너지를 줄일 수 있어 만족스러웠습니다. 제미나이와 함께 업무를 하면서, 손이 굉장히 빠른 부사수와 함께 일하는 듯한 기분이 들었습니다.
특히 이미지를 분석하고, 그래프도 생성해 주고, 일일이 다 보기 어려운 데이터를 순식간에 분석해 주는 기능이 유용했는데요. 저는 앞으로도 계속 이 기능들을 업무에 활용해 보려고 합니다.
여러분도 처음엔 조금 낯설더라도, 이 아티클에 소개된 사례들을 참고 기획 및 데이터 분석 업무에 조금씩 제미나이를 적용해 보신다면 업무 능률을 크게 올리실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2024년 2월 1일 제미나이 프로(Gemini Pro)의 한국어 지원, 이후 제미나이 어드밴스드(Gemini Advanced) 출시 등 제미나이의 성능은 시시각각 향상되고 있습니다. 수작업으로 데이터를 분석하고 기획하는 대신 구글 제미나이와 함께해 보시는 건 어떨까요?
🎁 프롬프트 모음집 🎁
소개한 모든 영문 프롬프트를 바로 복사, 붙여넣기 해서 활용하실 수 있도록 노션 페이지(클릭)에 정리했습니다.
페이지 우측 상단에 표시된 [복제]를 클릭해 본인의 노션 워크스페이스에 페이지를 복사하신 후, 원하는 사례를 클릭해 프롬프트를 활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