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원들이 왜 중간보고를 안 하지?
💡 10분 안에 이런 걸 알려드려요!
- 자율적인 팀을 운영하면서 보고를 통해 결과를 적절히 통제하는 노하우
- 중간보고의 기회를 활용해 팀원의 퍼포먼스를 높이는 방법
- 팀원이 중간보고를 유용한 시간으로 느끼게 만드는 팀장의 태도
저자 임희걸
DB생명보험 교육팀 팀장, 〈나를 위해 출근합니다〉 저자 > 프로필 더 보기
일 잘하는 방법을 조언하는 글은 꽤 많습니다. 하지만, 팀원이 일을 잘하도록 팀장으로서 어떻게 지원할지 알려주는 콘텐츠는 상대적으로 부족해 보입니다. 리더 관련 콘텐츠가 리더십이라는 가치의 관점에서 접근하기 때문인데요. 저는 '팀원이 중간보고를 잘하게 만드는 요령' 같은 보다 현실적인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중간보고라는 말을 들으면 팀장의 머릿속에는 어떤 것들이 떠오를까요? 아마 이런 생각들이 아닐까요?
'팀원들은 왜 보고 없이 임의대로 일을 하려고 할까?'
'자기들이 원하는 대로 일했으면 결과라도 좋으면 모르겠어. 결과도 그다지 좋지 않잖아.'
'보고하라고 할 때는 귀찮아하다가, 문제가 생기고 그제야 보고하면 나더러 어쩌라는 건지.'
팀장의 생각에 중간보고는 장점만 있을 뿐, 단점은 잘 보이지 않습니다. 중간보고는 여러가지 측면에서 업무 소통에 꽤나 유용합니다. 우선 팀장과 팀원이 생각하는 일의 방향성을 일치시켜줍니다. 서로 생각이 달라 전혀 다르게 일하고 뒤늦게 바로 잡아야 하는 오류를 막아줍니다. 시행착오를 방지해서 불필요한 예산·시간 낭비도 줄여줄 수 있습니다.
팀장 입장에서 중간보고가 필요한 이유는 또 있습니다. 팀장은 더 위의 보고 라인에 업무 진행 상황을 보고해야 합니다. 중간중간 보고를 받아서 정보를 알고 있어야 보고 라인의 질문에 제대로 대답할 수 있습니다. 임원이 업무에 관해 물었는데 제대로 대답을 못 하면 팀장은 바보가 된 기분을 느낍니다. 이런 이유로 팀원의 중간보고가 꼭 필요한데, 아무리 강조해도 팀원들은 눈치만 봅니다.
그렇다면 제대로된 중간보고를 이끌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일을 되게 하는 중간보고의 단계별 특성
중간보고는 문제 발생을 조기에 파악하여 일이 잘못될 위험성을 줄이고 지시자-실행자 간의 소통의 오류를 극복하기 위한 것입니다.
중간보고는 최대 3~4회에 걸쳐 진행합니다. 일의 중요도나 업무량에 따라 보고 횟수가 달라집니다. 프로젝트 진행 상황 등은 주간보고 형식으로 정기 보고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초안 보고는 전체적인 방향성이나 아이디어가 도출되었을 때 진행합니다. 팀장도 일을 지시했지만 생각이 명확하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초안을 보고하면 상사도 생각을 정리해볼 기회가 됩니다.
초안 보고, 완성도 10%
세부안 보고는 팀장의 의도를 재확인하고 상황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것입니다. 팀장이나 그 위의 보고 라인은 언제든 생각이 바뀔 수 있고, 일하는 환경과 제약 요소도 수시로 변합니다.
세부안 보고, 완성도 5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