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대의 싱어송라이터

과거부터 음악을 직접 작곡, 작사하고 부르는 아티스트들을 싱어송라이터라 칭해왔다. 그런데 동시대에 싱어송라이터는 행위자이기보다는 일종의 장르가 되어가는 것처럼 보인다.

 

기획사뿐만 아니라 인디 뮤직 신에서도 이런 경향이 두드러진다. 메인스트림의 아이유, 자이언티 등은 물론, 인디 신에서 최근 주목받고 있는 아티스트인 스텔라장, 모트 등을 지칭할 때 많은 이들이 발라드, 포크, 모던 록 등으로 장르 구분을 하기보다는 '싱어송라이터 OOO'라고 한다.

이 시대에 싱어송라이터는
행위인가, 장르인가?

  • EDITOR 이주영

비자발적 싱어송라이터의 시대

1990년대 말부터 2000년 초만 해도 싱어송라이터는 음악 평론가가 즐겨 쓰던 단어였다. 당시 음악 평론가는 싱어송라이터를 '진정성'과 동의어로 썼다.

 

회사에서 기획하고 만든 주류 음악 산업의 '꼭두각시'와는 다른, 자신의 내면을 탐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진심을 노래하는 음악가. 미디어는 대결 구도의 프레임을 먹고 자란다. 음악 평론가와 일부 미디어는 이들을 주류 음악의 대척점에 세웠다.

시스템과 개인
꼭두각시와 진정성
자본과 예술

그들이 내세운 대척의 개념은 '인디'였고 싱어송라이터라는 존재는 방패이자 창이었다.

 

지금은 경우가 다르다. 세계에서 가장 큰 디지털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인 스포티파이(Spotify)는 2018년 12월 31일을 마지막으로 'K-Indie Picks' 플레이리스트의 정기 업데이트를 중단했다. 여기에는 주로 혼자, 또는 인디 레이블로 분류되는 곳에서 음원을 발매한 곡이 실렸다.

 

대신 해외 사용자가 만든 'K-Indie'는 여전히 활발히 업데이트되고 있다. 여기에는 비와이, 허각 같은 이가 포함된다. 아이유나 자이언티가 들어가기도 한다. 이들에게 'K-Indie'란 그저 아이돌 그룹이 아닌 한국 음악인 셈이다.

 

비단 외부의 시선으로 보지 않아도 스트리밍 시대에 '인디'란 음악적인 무언가도, 지형적인 신도 설명하기 모호한 이름이 됐다. 현재 실용음악과의 입시 경쟁률은 최고 621대 1에 달한다. 공급 과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