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밸리를 이루는 사람들

4월 24일 새 시즌이 시작하는 HBO 드라마 '실리콘밸리'의 주인공들은 남자입니다. 공동창업자 넷과 그들의 곁을 지키는 얼릭도 남자죠. 사업 목적으로 만나는 주변 인물도 남자입니다. 이 드라마가 현실을 잘 반영했다고들 평가하는데 네, 실제로 그렇습니다.

실리콘밸리는 남자 판입니다.

미드 '실리콘밸리' 광고물이 붙은 인력거 ⓒ정보라

간단한 통계를 보시죠.

백인과 기타 인종을 제외한 미국과 주요 기업들의 인구 통계입니다.

 

- 미국 전체 인구: 라틴계 16%, 흑인 12%, 아시아 5%

- 구글: 라틴계 4%, 흑인 2%, 아시아 31%

- 페이스북: 라틴계 4%, 흑인 1%, 아시아 34%

- 트위터: 라틴계 2%, 흑인 2%, 아시아 33%

- 마이크로소프트: 라틴계 5%, 흑인 3%, 아시아 29% 

- 애플: 라틴계 12%, 흑인 8%, 아시아 16%

 

위는 남성과 여성을 더한 것으로,  

여성만 분리해서 따로 보면 (위 회사들에서 24~29%가 여성)

 

- 구글: 라틴계 1%, 흑인 1%, 아시아 9%

- 페이스북: 라틴계 2%, 흑인 1%, 아시아 9%

- 트위터: 라틴계 1%, 흑인 0%, 아시아 8%

- 마이크로소프트: 라틴계 1%, 흑인 1%, 아시아 7%

- 애플: 라틴계 4%, 흑인 3%, 아시아 5%

 

백인-남성 중심의 실리콘밸리에서 여성은 찾기 어렵고 흑인도 찾기 어렵고 라틴계도 찾기 어렵습니다. 이 셋을 둘씩 가진 사람은 더욱 찾기 어렵고요.

 

저는 이번 SXSW 2016에서 그런 사람이 셋이나 패널로 나온 'Why Diversity Can't Be Built in a Day(왜 다양성은 하루 아침에 만들어지지 않는가)' 세션에 참석하였습니다.

Why Diversity Can't Be Built in a Day @ SXSW 2016 ⓒ정보라

Why Diversity Can't Be Built in a Day

이곳에서 Joelle Emerson 패러다임(혁신 기업들의 다양성 전략에 조언하는 컨설팅 사) 대표는 여성들조차도 상당수가 백인이라고 말했습니다. 흑인이나 라틴계 여성은 더 적습니다. 테크 기업이기 때문에, 또는 여성은 테키하지 않아서라고 한다면, 기술 부문 외 영역에서 여성 인력 비율이 남성과 같아야 할 텐데 그렇지도 않은 상황이죠.

 

다양성을 이야기할 때 한국은 미국보다 골치가 덜 아픕니다. '한국인'처럼 생긴 '한국' 국적 사람만 챙기면 되니까요. 미국은 상황이 다릅니다. 이민자의 나라이니 성과 인종과 민족의 다양성을 보장해야 합니다. '반드시'라는 수식어를 달지 않지만, 기업은 사회의 눈치를 봅니다.

미국에서는 기술 기업이 미국 평균의 여성 노동자 비율에 못미치는 지표를 보이는 데 실망감을 표합니다. 거침없이요.

 

한국은 굳이 콕 집지 않잖아요. 저도 그랬습니다. 당연한, 자연스러운 상황이니까요. 그걸 지적하는 저만 깐깐한 사람이 되는 듯한 느낌적인 느낌을 지울 수 없었습니다.

제가 블로터에서 처음 기자로 일하며 한국 IT 기업의 공시자료를 보고 여성 직원 수가 전체 직원의 절반에 못미치고, 급여가 낮은 걸 보고 놀랐습니다. IT 산업에 대한 제 환상이 깨지는 순간이었죠.

 

한국에선 으레 '여성은 일을 안 하고, 결혼하면 일을 그만두고, 애를 낳으면 일을 안 하고, 그러다 계속 안 하고'라는 전제가 보편적으로 깔렸습니다. 아니라고 말하면 전 울지도 몰라요. 결혼하면서 '일 계속 할 거야?'란 질문을 아무렇지 않게 받았으니까요.

 

실리콘밸리 기업의 경우, 스타트업에서 규모가 좀 커졌다 싶은 곳은 앞서 말한 기업 내 다양성을 지키는 일을 할 사람을 둡니다. 외부에서 영입해서라도요. 페이스북, 트위터, 옐프, 핀터레스트 등에 있습니다. 페이스북을 빼곤 지는 기업입니다만, 스냅챗도 이에 대해 고민하고 있고 올해 다양성 보고서를 낼 준비도 한다고 하니 생각이 달라졌습니다.

 

다양성을 얘기하는 세션에선 Q&A 시간이 동병상련을 나누는 자리 같았는데요. 그 와중에 스냅챗에서 온 채용 담당자가 기업 내에서 다양성에 대해서 어떻게 커뮤니케이션하는지 물었습니다. 내부 설득하는 논리가 무엇이었는지요.

이에 대하여 핀터레스트의 Abby Maldonado는 '서비스를 쓰는 사람들이 다양하지 않은가.

그 사람들을 이해하는 서비스를 만들려면 조직도 다양한 사람으로 구성되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제품을 위해서요.

핀터레스트 Abby Maldonado @ SXSW 2016 ⓒ정보라

대부분의 기업들은 다양한 사람들이 사용하는 서비스를 만듭니다. 그들을 만족시키기 위해선 그들의 취향과 생각이 서비스에도 반영 되어야겠죠. 만약 여성 사용자를 타겟으로 하는 서비스를 남자들만 모여 만든다면, 고객들이 만족할만한 서비스가 나올 수 있을까요?

 

슬프게도, 인류가 다양한 인종과 민족으로 구성되었고 그 중 절반은 여성인 것과 달리, 미국의 기술 기업은 백인-남성이 주를 이루는 상황입니다.

(한국은 인종과 민족 다양성은 커녕 남성과 여성의 비율에 대한 고민조차 깊게 하지 않지요.)

질의응답시간 @ SXSW 2016, ⓒ정보라

 

다양성, 그리고 지속적인 관심

이 세션의 청중은 여성이 대부분이었습니다. 남성 중에서도 흑인이 있는 게 눈에 띄고, 조직 내 다양성을 고민하는 기업의 담당자들도 보였습니다. (스냅챗과 드롭박스 등)

 

Q&A 시간에 성소수자에 대한 얘기까지 나온 것도 인상적이었어요. 패널인 도미니크가 LGBT who tech 활동가이므로 어찌보면 당연한 주제였을 수도 있겠네요.

 

통계가 보여주듯, 한국은 물론 미국 역시 IT기업에서 여성으로 일한다는 것, 혹은 소수자로 일한다는 것은 쉽지 만은 않은 일 같습니다. 때때로 눈에 보이는, 혹은 은연 중에 존재하는 편견과 차별을 견뎌내며 일해야 할테니까요.

 

참, 정말 아는 만큼만 보인다고 저는 기업 내 다양성을 담당하는 직원이 있다는 걸 뒤늦게 알게 되었어요. 그러니까 패널로 나온 기업이 특이한 줄 알았는데 꼭 그렇지만은 않은 듯합니다. 글래스도어에서 'diversity director'를 검색하면 결과가 좌르륵 나옵니다.

 

성별은 물론 인종과 민족 간의 다양성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미국의 IT/스타트업 기업들을 보고 나니, 우리나라도 다양성에 대한 화두를 수면 위로 올리고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야할 때가 아닌가 싶습니다.

 

'다양한 사람들이 사용하는 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라도요. 그리고 세션의 제목처럼, 다양성 문제는 하루 아침에 해결되는 것이 아니니까요.

 


* PUBLY와 정보라 기자가 함께 진행하는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

'SXSW에서 본 IT/스타트업 핫 트렌드' 데일리 메모 2화의 일부를 재편집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