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자율근무로 일한다

로켓펀치는 2013년 스타트업 위키피디아로 시작해 스타트업 채용 플랫폼으로 이름을 알렸다. 서로가 서로를 인지하는 것조차 일이었던 초기 스타트업 생태계에서 이들이 주목한 건 '연결'이다. 기업이 원하는 인재를 찾고, 인재도 가능성을 실현할 수 있는 기업을 찾을 수 있도록 기업과 채용 관련 정보를 한데 모았다. 정보가 필요한 사람은 물론, 구인구직 중인 기업과 인재가 로켓펀치 플랫폼에 모여들면서 스타트업 네트워킹 플랫폼으로 성장했다.

 

2018년 11월에는 채용을 위한 연결에서 나아가 비즈니스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연결로 서비스를 확장했다. 자신의 비즈니스 프로필을 등록해 네트워킹, 기업 정보, 구인구직, 투자 등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필요로 하는 사람과 만날 수 있도록 만들었다.

 

로켓펀치가 자율근무를 도입한 건 2015년 무렵이다.* 당시 로켓펀치를 만드는 인원은 조민희 대표를 포함해 다섯 명이었다. 그 무렵 김동희 CTO가 발을 다쳐 출퇴근이 어려워지면서 원격근무 논의가 시작됐다. 이미 클라우드 시스템을 도입해 꼭 사무실에 나오지 않더라도 업무에는 지장이 없었다.

* 관련 글: 로켓펀치의 자율근무 문화(2018년) (출처: 로켓펀치 공식 블로그)

 

애초부터 로켓펀치는 오프라인 공간을 염두에 두지 않았다. 이유는 명확하다. 온라인 서비스를 만드는데 굳이 물리적인 공간에 모여 있을 필요가 없었다. 공간 개념을 전제로 하는 원격근무 대신 자율근무라는 개념을 쓰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자율근무 결정 이후
언제 어디서 어떻게 일해야 한다는
규칙을 정하지도 않았다
알아서 일할 공간을 정하고, 원하는 시간에 자유롭게 일하되 최고의 효율을 내면 그뿐이다. 로켓펀치는 팀원 10여 명이 각자 공간에서 자유롭게 일하고 있다. 이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건 1년에 두 차례 열리는 워크숍에서다.

ⓒ로켓펀치